top of page

Searching

공란으로 17개 검색됨

  • It's me | Gil0 0Bang

    It's me 인하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과 2학년 제가 설계한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Project 0: Breaking Box / 4 Squares Project 1: 예술가의 집. (장애시설 부재) Project 2: 공공 도서관. (장애시설) Project 3: 상업 공간. (장애시설 및 구조계획) 좋아하는 건축가: 피터 춤토르 후지모토 소우 Contact 김길영 ytube8047@gmail.com 인스타그램: 맨 위로

  • Jongno, Yeo Dam Jae | Gil0 0Bang

    "현재가 요구하는 과거" ㄴ 종로 여담재 주관 적 답사기 종로 여담재 contact

  • Project 1.3.1 | Gil0 0Bang

    "음영을 다루는 세심한 변주" 한옥을 주제로 진행해온 2년간의 설계의 마침표를 찍으며 Project 1.3.1 한옥의 현대화 그리고 상업시설과의 결합 Project 1.3.1 프로젝트02. 상업 공간 디자인 ㄱ. 도시와 건축의 다양한 이슈와 상업공간의 특성 탐구 ㄴ. 상업공간 + 대지와 도시적 맥락에 대한 사회문화적, 물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경사면을 활용한 디자인 ㄷ. 상업 공간의 외부 및 내부 공간 개념 ㄹ. 점포와 가로, 보도의 경계에 관한 연구 ㅁ. 입면 상업공간의 개념적 표현 ㅂ. 보도에서 매장까지 보행자 이동 탐색 ㅅ. 보도와 내부를 연결하는 단면공간을 조성하고 가로변 입면으로 형성되는 가로경관을 계획하여 상업공간 내외에서 운영할 수 있는 공공공간을 탐색 시간. 가구, 간판, 타이포그래피, 조명 등 도시 디자인 요소를 접목한 스트리트 아이덴티티 ㅇ. 사면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절토 및 제방계획, 접근도로계획, 우·배수계획, 조경계획 등 외부공간을 포함한 토지조성능력 배양 ㅈ. 도시 공간의 변화 과정과 현재의 인문학적 맥락(심리적, 문화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구축 상업용 - 총 건폐율의 70% 기타 프로그램 개별 제안(공공 프로그램 또는 주택, 작업 공간 등) - 전체 바닥 면적의 30%. 외부공간(공원 등) - 대지면적의 30% 사이트 분석 대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683-134 반경 : 0.5km Prologue '한옥의 현대화'에 대해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한옥의 현대화 사례를 살펴보면, 대부분 처마, 마루, 기둥과 같은 한옥의 '하드웨어'를 그대로 건물에 끼워넣는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아파트같은 고층건물에서도 비슷한 시도가 있었다. 한옥은 2층 이상 짓지 못하는 단층 구조라는 한계가 있는데도 말이다. 나는 앞서 언급된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상황들을 고려하며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한옥의 요소는 무엇일지 고민해보았다. 결론부터 내리자면 한옥은 "음영을 다루는 세심한 변주곡" 이다. Concept idea Sketch idea Sketch "음영을 다루는 세심한 변주” 한옥은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빛을 여러 단계로 걸러낸다. 이 결과 내부로 깊이 들어갈수록 광량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음영의 불연속성을 기반으로 공간을 분할하고 기능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경복궁의 경회루는 임금과 신하가 연회를 베풀던 건물로, 따라서 음영은 불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또 다른 주목할만한 부분은 "단차"다. 높이가 다른 두 지형을 연결하는 "단"은 수평부와 수직부로 나뉘게 된다. 이때 수직부는 그림자, 즉 음영을 만들어내며, 이 음영은 하나의 굵은 선이 되어 두 공간을 구분짓게 된다. 경회루의 상층은 3중으로 되어 있다. 3개의 구역은 '단차'와 '광량의 차이'로 구분되며 각 구역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먼저 정중앙의 1중 3칸은 천지인(天地人)을 의미하며 2중 12칸은 일년 12달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2중을 둘러싼 3중의 24개 기둥은 24절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음영은 불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렇게 한옥은 음영을 통해 공간을 분할하고 기능을 부여한다. 이것이 내가 주목한 한옥의 음영이다. 한옥에 생긴 그늘은 고이고 퍼지며 머문다. 그리고 이 그늘이 가진 기능을 알게될때 비로소 깨닫는다. “아름다움은 사물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물체와 물체가 만들어내는 그늘의 무늬, 명암, 음영에 있다“ -음예 예찬(In Praise of Shadows), Tanizaki Junichiro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형이 한 말이 생각난다. “건축은 응고된 음악이다” 나는 덧붙인다. “한옥은 음영을 다루는 세심한 변주곡이다” Model SCALE 1:200 SCALE 1:200 SCALE 1:50 DETAIL SECTION MODEL 1 DETAIL SECTION MODEL 2 SCALE 1:50 SCALE 1:200 SCALE 1:200 Plan GROUND FLOOR PLAN (1F) SECOND FLOOR PLAN (2F) ROOF PLAN SECTION A - A' SECTION B - B' ELEVATION 1 - 4 PROJECT 1.3.1 COMPLETE

  • Project 1.4.0 | Gil0 0Bang

    "현재가 요구하는 과거" Project 1.4.0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전통건축 한옥의 현대화에 대하여 현대사회에서 한옥의 현대화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한옥은 한옥마을과 같은 큰 마을 단위의 경계에서 다른 한옥들과 어우러져 있다. 하지만 고밀도화되면서 높아지고 있는 건물들 사이에서 낮은 한옥은 그런 높은 건물들과는 낯선, 동떨어진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한옥이 현대건축과 만났을 때 단층이 아닌 모습으로 한옥의 멋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한옥의 요소들은 색, 구조, 재료, 창살이나 마루, 기와같이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요소들부터 평면의 형태나 공간의 깊이같이 직접 체험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요소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기와의 경우만 해도 기와의 형태, 쌓는 모양, 색, 기와에 새겨지는 무늬 등 다양한 요소들이 나타난다. 한 요소에서 추출되는 다양한 요소들을 건물에 바로 적용시킬 수 있는 패턴을 만들어 놓는다면 다채로운 방식으로 현대건축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이 되어 한옥의 수십가지의 요소들을 현대건축물에 입힐 수 있는 패턴으로 바꾸어 입혀보는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프로그램으로 코리아 라이브러리라는 용도를 주어 저층부와 상층부에 각각 상업공간과 라이브러리를 배치하고 사이사이에 야외공간을 두어 기존 수평적인 한옥의 배치를 수직적으로 풀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건물의 외부는 옛부터 전해오는 한옥의 미를 건물에 입히고 내부로는 한국의 옛 문화, 놀이, 음식, 음악부터 현재의 K-POP, 드라마, 영화까지 한국의 과거와 현재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한옥을 재해석하였다. 대상지는 하이테크 고층의 건물들로 이루어진 테헤란로가 위치한 강남역으로 대부분의 건물들이 10층규모가 넘어가는 고밀도화되어있는 지역이다. 이러한 강남 빌딩숲 한복판에서 한옥의 옷을 입은 건축물이 외국 관광객들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사람들에게도 한국의 문화를 알려주고 체험시켜주는 랜드마크적인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는 모습으로 계획하였다. Site Analysis 서울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빌딩이 밀집되어있는 강남역 일대에 사이트를 정하여 고층 빌딩들 사이에서 한옥의 색을 입힌 건물이 한옥의 고유의 멋을 나타냄과 동시에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옛 부터 전해오는 한옥의 멋과 미를 시각적으로 경험하면서 한국의 옛 문화와 놀이, 음식 음악부터 현재의 문화, K-POP, 영화, 드라마까지 과거와 현재의 한국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K-라이브러리라는 공간을 통해 기획하여 서울의 랜드마크로서 기획하고자 한다. Prologue 기존의 한옥 마을은 대부분 한옥들은 집단적으로 모여있어 부분부분 하나의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안동 하회마을부터 도심 속에 위치한 북촌 한옥마을까지 한옥들은 대부분 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저층 양식의 한옥은 현대로 오면서 기존 한옥마을과 어우러지기 위해 저층 위주로 지어지고 있다. 한옥이라는 건축 양식을 도시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많이 이루어져왔지만 저층의 한옥은 도시와 조화를 이루기에 어려움이 있다. #1 부분부분 모여있는 한옥마을 현대 사회의 도시는 좁은 땅에서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해 도심 속의 빌딩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고층 빌딩들이 숲을 이루면서 오히려 저층 건물들이 도심에서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2 저층 위주의 한옥 #3 점점 높아지는 도심 속 빌딩들 #4 도시 한복판 빌딩 숲 사이에 한옥이 현대건축과 만나게 된다면? 한옥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한옥의 요소들이 현대적인 건물과 만나 고층건물들의 빌딩숲 사이에서 단층이 아닌 모습으로 한옥의 고유의 멋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려 한다. Diagram SECTION : Perspective Section 한옥의 평면구조는 보통 [사랑마당 - 사랑채 - 안마당 - 안채]순으로 수평적 구성을 가진다. 우리는 이를 수직적으로 해석하여 수직적 공간배치를 진행하였다. SECTION : Diagram FLOOR PLAN 1F & 3F FLOOR PLAN 2F & 4F FLOOR PLAN 5F & 6F FLOOR PLAN 7F & 8F SITE PLAN Copyright © : GILYOUNG KIM / o_flrrrr FLOOR PLAN 1 - 8F MASS Process ㄷ자, ㄱ자, ㅁ자, ㅡ자와 같은 한옥의 평면 구성을 쌓은 형태 한옥 지붕을 쌓아 올린 형태 기와의 형태를 차용한 커튼월 디자인 한옥의 형태를 가진 매스들이 부분부분 삽입되어 있는 형태 창살형태의 블록 내부의 한옥의 형태를 파서 만든 새로운 형태의 공간 한옥의 마루 패턴중 하나인 우물 마루패턴을 차용한 입면 디자인 Circulation Project 1.4.0 Finished

  • Project 1.2.0 | Gil0 0Bang

    THE HIGHER YOU GO, THE MORE YOU SEE - Public Library with B.F Design Project 2 - City Revitalization. a. Planned Site: 1 of 2 Sites of 917㎡ or 922.6㎡ b. Planned size: 4 stories below ground (20 meters or less) : Building area up to 550㎡ or 553.6㎡ : Total floor area up to 2,292.5㎡ and 2,306,5㎡ c. Building coverage: 60% or less d. Floor area ratio: 250% or less e. Structure: Planned with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r steel frame f. Parking lot: Installation of parking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 to 4% of the number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 installation of parking lot: about 1 to 2) g. Landscaping area: Exterior and rooftop - Installation of more than legal area; installation of interior if necessary (not included in legal area) h. Program and Are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Community Library - Freely constructed within the maximum building area and the maximum floor area1) - Refer to the library area standards below, and adjust them freely in accordance with your design concept and set program 공공의 도서관 Model

G

0

길영 - 공방

GIL0-0BANG

SINCE 2022~

bottom of page